본문 바로가기
고양이 질병백과

고양이 소화기계 질환,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

by koongmom 2025. 3. 24.


고양이의 소화기 건강은 전반적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사료를 잘 먹지 않거나 구토,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소화기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고양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소화기계 질환의 종류, 원인, 증상, 그리고 예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 소화기계 질환의 종류

  1. 위염 (Gastritis)
    1. 급격한 사료 변경, 상한 음식 섭취 털 삼킴(헤어볼), 스트레스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
    2. 구토(노란색, 거품, 음식물 포함), 식욕 감소, 무기력함과 같은 증상을 보임
  2. 췌장염 (Pancreatitis)
    1. 기름진 음식 섭취 스트레스, 기저 질환(당뇨, 간질환 등), 고양이 특발성 췌장염(명확한 원인 없이 발생)이 원인으로 발생
    2. 식욕 부진 및 체중 감소, 반복적인 구토 설사 또는 변 상태 이상, 배를 만질 때 통증 호소의 증상을 보임
  3. 장염 (Enteritis) & 대장염 (Colitis)
    1. 박테리아, 바이러스 감염(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캄필로박터균 등), 음식 알레르기, 장내 유해균 증가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
    2. 설사(묽은 변, 혈변 포함), 잦은 배변 시도, 배변 시 힘을 주며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임
  4. 변비 (Constipation)
    1. 물 부족 섭취, 운동 부족, 털 삼킴(헤어볼), 섬유질 부족으로 인해 발생
    2. 배변 횟수 감소, 딱딱한 변을 힘들게 배출, 복부 팽창, 무기력의 증상을 보임
  5. 급성 또는 만성 설사
    1. 음식 알레르기, 장내 세균 감염 스트레스, 갑작스러운 사료 변경, 기생충 감염등의 원인으로 발생
    2. 묽은 변 또는 혈변 잦은 배변, 항문 주변 오염, 탈수 증상(무기력, 피부 탄력 저하)을 보임
  6. 위장관 이물 (Foreign Body Ingestion)
    1. 장난감, 고무줄, 실 등의 이물질 삼킴 또는 식탐이 많은 고양이의 비정상적인 물건 섭취를 원인으로 발생
    2. 지속적인 구토, 식욕 부진, 배를 만질 때 통증 호소의 증상을 보임

고양이 소화기계 질환의 종류


고양이 소화기계 질환의 예방 방법

고양이의 소화기계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 균형 잡힌 식단 유지
    1.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사료 선택
    2. 기름진 음식, 유제품, 양파, 마늘 등 금지
  2. 수분 섭취 늘리기
    1. 물그릇 여러 개 배치
    2. 습식 사료와 건사료 혼합 급여
  3. 헤어볼 관리 필수
    1. 정기적인 빗질
    2. 헤어볼 컨트롤 사료 또는 간식 제공
  4. 정기적인 기생충 예방 및 건강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