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의 소화기 건강은 전반적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사료를 잘 먹지 않거나 구토,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소화기 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고양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소화기계 질환의 종류, 원인, 증상, 그리고 예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고양이 소화기계 질환의 종류
- 위염 (Gastritis)
- 급격한 사료 변경, 상한 음식 섭취 털 삼킴(헤어볼), 스트레스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
- 구토(노란색, 거품, 음식물 포함), 식욕 감소, 무기력함과 같은 증상을 보임
- 췌장염 (Pancreatitis)
- 기름진 음식 섭취 스트레스, 기저 질환(당뇨, 간질환 등), 고양이 특발성 췌장염(명확한 원인 없이 발생)이 원인으로 발생
- 식욕 부진 및 체중 감소, 반복적인 구토 설사 또는 변 상태 이상, 배를 만질 때 통증 호소의 증상을 보임
- 장염 (Enteritis) & 대장염 (Colitis)
- 박테리아, 바이러스 감염(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캄필로박터균 등), 음식 알레르기, 장내 유해균 증가등의 원인으로 인해 발생
- 설사(묽은 변, 혈변 포함), 잦은 배변 시도, 배변 시 힘을 주며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임
- 변비 (Constipation)
- 물 부족 섭취, 운동 부족, 털 삼킴(헤어볼), 섬유질 부족으로 인해 발생
- 배변 횟수 감소, 딱딱한 변을 힘들게 배출, 복부 팽창, 무기력의 증상을 보임
- 급성 또는 만성 설사
- 음식 알레르기, 장내 세균 감염 스트레스, 갑작스러운 사료 변경, 기생충 감염등의 원인으로 발생
- 묽은 변 또는 혈변 잦은 배변, 항문 주변 오염, 탈수 증상(무기력, 피부 탄력 저하)을 보임
- 위장관 이물 (Foreign Body Ingestion)
- 장난감, 고무줄, 실 등의 이물질 삼킴 또는 식탐이 많은 고양이의 비정상적인 물건 섭취를 원인으로 발생
- 지속적인 구토, 식욕 부진, 배를 만질 때 통증 호소의 증상을 보임
고양이 소화기계 질환의 예방 방법
고양이의 소화기계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균형 잡힌 식단 유지
- 영양학적으로 균형 잡힌 사료 선택
- 기름진 음식, 유제품, 양파, 마늘 등 금지
- 수분 섭취 늘리기
- 물그릇 여러 개 배치
- 습식 사료와 건사료 혼합 급여
- 헤어볼 관리 필수
- 정기적인 빗질
- 헤어볼 컨트롤 사료 또는 간식 제공
- 정기적인 기생충 예방 및 건강검진
'고양이 질병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조혈기계 질환,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3.31 |
---|---|
고양이 비뇨기계 질환,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3.28 |
고양이 호흡기 질환,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2.28 |
고양이 심장병, 집사가 꼭 알아야 할 정보 (0) | 2025.02.24 |
고양이 혈액 검사에서 Ca(칼슘) 수치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