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양이 질병백과

고양이 급성 설사 / 만성 설사

by koongmom 2025. 7. 14.

고양이 급성 설사 / 만성 설사


고양이 화장실을 치우다 보면 평소와 다른 묽거나 물 같은 변을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많은 집사분들이 “뭘 잘못 먹었나?” 하고 넘기기 쉽지만, 고양이의 설사는 단순한 소화기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특히 설사가 반복되거나 24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원인을 찾고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고양이 설사란?

고양이 설사는 정상보다 잦고 묽은 변을 보는 상태를 의미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됩니다.

  • 급성 설사: 갑작스럽게 1~3일 이내 발생. 대부분 일시적
  • 만성 설사: 2~3주 이상 지속. 기저 질환의 가능성 높음

고양이 설사란?


고양이 설사의 주요 원인

급성 설사

  1. 급격한 사료 변경
  2. 상한 음식, 이물 섭취
  3. 스트레스 (환경 변화, 이사 등)
  4. 기생충 감염 (회충, 지아르디아 등)
  5. 바이러스/세균 감염 (장염 유발)
  6. 알레르기 반응

만성 설사

  1. 식이 알레르기 또는 불내증
  2. 염증성 장질환 (IBD)
  3. 췌장 기능 저하 (EPI)
  4. 장내 세균 불균형
  5. 장내 종양 또는 림프종
  6. 만성 기생충 감염

고양이 설사의 주요 원인


고양이 설사의 주요 증상

설사의 원인이나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잦은 배변, 물 같은 묽은 변
  • 악취 나는 설사, 점액 또는 혈액 포함
  • 식욕 저하
  • 복통, 배에서 꾸르륵 소리
  • 무기력, 체중 감소
  • 구토 동반


고양이 설사의 진단 방법

고양이의 설사가 일시적인지, 반복되는지에 따라 검사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변 검사: 기생충, 세균 감염 확인
  • 혈액 검사: 염증 수치, 장기 기능 확인
  • 초음파/방사선 검사: 장, 췌장, 간의 구조 확인
  • 식이 반응 검사: 알레르기나 음식 불내증 판단

고양이 설사의 진단 방법


고양이 설사의 예방법 및 관리법

1. 식이 관리

  • 사료는 점진적으로 교체 (7일 이상 걸쳐 서서히 변경)
  • 소화에 좋은 단일단백질 사료저 알레르기 사료 활용
  •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 급여로 장 내 환경 개선

2. 수분 보충

  • 설사 시 탈수 위험 → 습식사료, 고양이용 수분보충제 활용
  • 식수가 부족하면 구토나 설사를 더 악화시킬 수 있음

3. 수의사 내원 시기

  • 24시간 이상 설사 지속
  • 혈변, 무기력, 식욕 없음, 구토 동반
  • 자주 반복되는 설사 (3주 이상 지속 시 만성 설사 의심)

4. 화장실 관리

  • 설사 시 주변 털이나 항문에 변이 묻기 쉬우므로 부드럽게 닦아줌
  • 화장실 자주 청소해 청결 유지 (감염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