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가 화장실에 오래 앉아 있거나, 배변을 시도하지만 실패하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이런 행동은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변비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변비는 고양이에게 비교적 흔한 소화기 문제지만, 지속되거나 만성화될 경우 더 큰 건강 문제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에 관리가 중요합니다.
고양이 변비란?
변비는 고양이의 대장에서 배설물이 장시간 머물면서 건조하고 단단해져 배출이 어려워지는 상태입니다.
심하면 배변을 못하고 고통스러워하는 ‘배변 장애’나 대장 무력증(메가콜론)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변비의 주요 원인
공통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분 부족: 건사료 위주의 식사, 물 섭취량 부족은 변을 딱딱하게 만듭니다.
- 운동 부족: 활동량이 적은 실내 고양이는 장의 연동 운동이 약해져 변비가 생기기 쉽습니다.
- 모구(헤어볼): 고양이는 스스로 그루밍을 하기 때문에 삼킨 털이 장에 쌓이면 변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식이 섬유 부족: 저섬유 식단은 장의 운동을 저하시켜 변비를 악화시킵니다.
- 스트레스: 환경 변화나 화장실 사용의 불편함 등은 배변을 참게 만들어 변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화장실 문제: 청결하지 않은 화장실, 모래의 종류, 위치 등이 불편할 경우 배변을 꺼리게 됩니다.
- 기저 질환: 대장염, 골반 골절 후유증, 신경 손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신부전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변비의 주요 증상
변비가 의심되는 경우 고양이에게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2일 이상 배변이 없음
- 화장실에서 오랜 시간 머무름
- 배변 중 울음 또는 힘주는 행동
- 단단하고 작고 마른 변
- 잦은 배변 시도 (하지만 적은 양의 변)
- 식욕 저하, 무기력
- 복부 팽창 또는 통증
- 구토
고양이 변비의 진단 방법
- 문진 & 병력 청취: 배변 습관, 식이 내용, 환경 변화 등 확인
- 복부 촉진: 변이 장에 얼마나 쌓였는지 확인
- X-ray 또는 초음파: 대장의 상태, 메가콜론 여부 확인
- 혈액 검사: 탈수 여부, 신장·갑상선 질환 등 확인
고양이 변비의 예방법 및 관리법
1. 수분 섭취 늘리기
- 습식 사료를 병행하거나, 건사료에 물이나 육수를 첨가
- 고양이 정수기, 물그릇 여러 개 배치해 자주 마시게 유도
2. 식이섬유 조절
- 변비 고양이를 위한 고섬유 사료 급여
- 수의사 추천에 따라 락툴로오스, 프로바이오틱스 보조제 병행
3. 꾸준한 운동 유도
- 캣타워, 터널, 인터랙티브 장난감으로 활동량 증가
4. 정기적인 그루밍
- 장모종은 매일, 단모종도 주기적인 빗질로 모구 예방
- 모구 제거용 간식이나 사료 활용 가능
5. 화장실 환경 개선
- 청결 유지, 조용한 장소 배치, 모래 종류 바꾸기 등으로 배변 스트레스 감소
6. 수의사 상담 및 치료
- 심한 경우 관장이나 완하제 투여 필요
- 만성 변비는 장기 관리 계획 필요 (식이조절 + 약물치료 병행)
'고양이 질병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급성 설사 / 만성 설사 (0) | 2025.07.14 |
---|---|
고양이 장염(Enteritis) 및 대장염(Colitis) (0) | 2025.07.07 |
고양이 췌장염(Pancreatitis) (0) | 2025.07.04 |
고양이 위염(Gastritis) (0) | 2025.06.30 |
고양이 비염 및 부비동염 (0)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