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는 호기심이 많은 동물입니다.
실, 고무줄, 장난감, 비닐 조각 등 집 안의 작은 물건들을 물고 놀다가 삼켜버리는 사고가 종종 발생합니다.
소화기관에 들어가선 안 될 물질이 들어가 위나 장에 걸리게 되는 상태를 ‘위장관 이물(Gastrointestinal Foreign Body)’이라고 합니다.
응급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양이 위장관 이물이란?
고양이 위장관 이물은 먹을 수 없는 이물질이 위나 장에 들어가 물리적으로 막히거나 자극을 유발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장폐색이나 장천공(장에 구멍이 나는 상태)으로 이어지면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중요합니다.
고양이 주요 위장관 이물
고양이에게 흔히 발견되는 위장관 이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실, 실밥, 리본
- 고무줄, 머리끈
- 장난감 조각, 펜 뚜껑
- 비닐봉지, 플라스틱 포장지
- 옷감 조각, 스펀지
- 뼈, 돌, 식물 줄기 등 자연물
📌 선형 이물(실처럼 길고 얇은 것)은 특히 위험!
장에 걸려 장 벽을 주름지게 만들거나 찢어버릴 수 있습니다.
고양이 위장관 이물의 주요 증상
고양이 위장관 이물은 위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입니다:
- 반복적인 구토 (먹은 직후 또는 아무것도 먹지 않아도 구토)
- 식욕 부진, 물도 마시지 않으려 함
- 무기력, 계속 숨거나 움직이지 않음
- 복통 (만지면 싫어하거나 움찔함)
- 배변 이상: 변을 보지 않거나 묽고 냄새가 심함
- 복부 팽창
- 드물게는 구토에 실이나 이물질이 보이기도 함
❗ 이런 증상이 있다면 절대 지체하지 말고 병원으로 데려가야 합니다.
고양이 위장관 이물의 진단 방법
위장관 이물은 외관상 판단이 어려워 정밀 진단이 필요합니다.
- 문진 및 이물 섭취 여부 확인
- 복부 촉진: 혹은 복부 통증 확인
- 복부 X-ray: 이물 위치, 장폐색 여부 파악
- 초음파 검사: 장 운동, 이물 유무 자세히 확인
- 내시경 검사: 위에 이물이 있는 경우 직접 확인 및 제거 가능
고양이 위장관 이물의 예방법 및 관리법
1. 위험한 물건 치우기
- 실, 고무줄, 리본, 작은 장난감 등 입에 들어갈 만한 것 차단
2. 장난감은 크고 튼튼한 것 선택
- 물거나 삼킬 수 없는 크기의 장난감을 사용
3. 놀이 시 보호자 감독
- 실이나 끈이 달린 장난감은 반드시 보호자와 함께 놀이
4. 갑작스러운 증상 발생 시 신속하게 병원 방문
- 12시간 이상 구토하거나 밥을 먹지 않으면 바로 내원
'고양이 질병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특발성 방광염(Feline Idiopathic Cystitis, FIC) (2) | 2025.07.21 |
---|---|
고양이 급성 설사 / 만성 설사 (0) | 2025.07.14 |
고양이 변비(Constipation) (0) | 2025.07.11 |
고양이 장염(Enteritis) 및 대장염(Colitis) (0) | 2025.07.07 |
고양이 췌장염(Pancreatitis) (0) | 2025.07.04 |